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영아기2

영유아 프로그램_개발과 평가3 (2)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이론 비고츠키는 인지발달을 강조하였으나 피아제와 달리 아동발달의 결정요인으로써 사회 · 문화적인 맥락을 강조하였다.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역사적 · 문화적 존재이기 때문에 인간의 발달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살고 있는 사회 · 문화적 배경과 맥락을 함께 이해해야 한다. 한 사회의 특성인 사회문화적 가치, 관습, 이데올로기, 고차적 정신 기능 등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전수되고(Rogoff, 1993), 개인의 인지발달은 사회문화적 상황을 통해 공유된 지식을 내면화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또는 개인적 수준에서 먼저 일어난 인지발달은 그 후에 개인적, 심리적 수준에서 일어나는 과정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고등정신 기능은 사회적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2021. 12. 22.
영유아 프로그램_개발과 평가2 3) 행동주의 이론(환경지배주의) 행동주의는 발달과 학습은 외부 환경의 자극과 반응의 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설명하는 이론으로, 왓슨(Watson), 파블로프(Pavlov), 손다이크(Thorndike), 스키너(Skinner), 반두라(Bandura) 등의 학자로 이어지는 일련의 이론체계이다. 행동주의 이론은 로크의 백지설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모든 발달 및 교육적 성취는 외적 자극에 대해 유기체가 반응함으로써 비롯된다고 주장한다. 생물학적 요인보다는 환경적 요인을 더 강조하고 학습경험이야말로 인간발달에서 변화의 근원이라고 믿는다. 행동주의자들은 학습과 발달은 분리된 것이 아니며, 학습을 크게 자극에 대한 반응의 관계로 보고 있다. 나아가 학습은 학습 주체자의 목적이나 심리적 필요에서 기인하는 것이.. 2021. 12. 21.
반응형